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기술분석사전

현재주가 위치는?? 스토캐스틱(Stochastic) (Pt1. 스토캐스틱이란?)

by ppaky89 2022. 5. 8.
728x90

(주의) 기술적 분석은 반드시 기본적 분석을 베이스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술적 분석이 회사의 사업, 재무건전성, 성장성 등등 회사의 사업내용과 성과를 알려주지 않습니다.

(주의) 저는 아마추어 투자자입니다.

전문적인 내용의 글을 쓸 능력이 없으니, 참고만 하시길 부탁드립니다.

(틀린 점과 추가할 점을 알려주시면, 언제나 환영입니다.)

스토캐스틱(Stochastic)이란?

주식 투자를 하면서 가장 궁금한 것이 주식을 언제 매도해야할지 고민한 적이 없으신가요?

저는 기본적으로 스토리의 확인, 분기별로 나오는 실적 그리고 주가가 목표이익도달시 매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간혹 스토리가 살아있고, 실적도 좋은 상황에서 주가가 목표이익을 도달했을 때, 욕심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스스로가 매도 기준에서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을지 고민이 될 때, 보조지표를 한번 열어보게 됩니다.

수많은 보조지표 중에서 가장 맨처음 열어보는 것이, 스토캐스틱입니다.

스토캐스틱은 일정한 기간 동안의 가격 범위 내, 최고가와 최저가 사이에서 현재 주가의 위치가

어디쯤 있는지를 표시하는 보조지표입니다.

삼성전자 일봉차트와 스토캐스틱

X기간 동안 가장 최고가를 100, 가장 최저가를 0으로 표시되며, 이 사이에 위치프로 K(% K)를 가지고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보조 지표입니다.

그리고 프로 K(% K)의 위치가 100~80을 매도구간, 0~20을 매수 구간으로 표시하여 주식 매매시점에 도움을 주는

보조지표입니다.

 

패스트 스토캐스틱(Fast Stochastic)과 슬로 스토캐스틱(Slow Stochastic)

<패스트 스토캐스틱>

패스트 스토캐스틱 공식

스토캐스틱은 X기간 동안 현재 주가의 위치를 백분율로 표시하는 기술적 분석의 보조지표입니다.

프로 K(% K, 이하 K값) 선을 중심으로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패스트 K값은 X기간 동안의 현재 위치를 나타냅니다.

패스트 D값은 K값의 Y일의 이동평균선입니다.

만도 패스트 스토캐스틱

패스트 스토캐스틱을 HTS에 설정했을 때, 기본값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STO FAST% K(5,3)은 위에서 말한 패스트 K값으로 5일(X) 동안의 최고가, 최저가 중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값입니다.

% D는 3일(Y) 동안의 K값의 이동평균선입니다.

 

K값으로 주가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승 국면이면 100에 가까워질 것이고 하락국면이면 0에 가까워질 것입니다.

다만, K값의 현재 주가를 반영하므로 변동성이 큰 장에서는 위아래로 크게 요동치게 되어버립니다.

이렇게 되면, 매수, 매도의 신호를 잡기가 곤란하거나 오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표시되는 것이 D값입니다.

D값K값이동 평균한 것으로 K값의 변동성을 완만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주가 차트의 이동평균선처럼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저항선, 지지대,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등등 이평선에서 사용들을 들어보신 것처럼, D값을 장기 이평선으로 삼고 K값을 봉차트

혹은 단기 이평선처럼 사용도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슬로 스토캐스틱 >

 

그런데, 패스트 스토캐스틱의 D값이 패스트 스토캐스틱의  K값의 변동성을 완만하게 보여준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변동성이

커 보입니다.

이런 변동성이 큰 파형으로 인해, 투자자는 스토캐스틱으로 투자 대응하기 어려울 것 같네요..

앞서 100~80을 매도구간, 0~20을 매수 구간이라고 적었는데, 이 파형이 하루에도 몇 번씩이라도 나올 수가 있다는 거죠..

 

패스트 스토캐스틱의 여전히 큰 변동성이라는 단점을 완화시킨 것이 슬로 캐스틱입니다.

슬로우 스토캐스틱 공식

공식을 보시면 슬로우 K값패스트 스토캐스틱의 D값입니다.

이미 패스트 스토캐스틱 K값을 완화시킨 패스트 스토캐스틱의 D을 사용합니다.

즉, 변동성 완화시킨  K값과 한 번 더 완화시킨 D을 사용하여, 패스트 스토캐스틱의 단점을 최대한 보완한 스토캐스틱입니다.

만도 주가차트 + (상)패스트 스토캐스틱 + (하)슬로우 스토캐스틱

위의 차트는 만도의 패스트 스토캐스틱(상), 슬로 스토캐스틱(하)의 비교 차트입니다.

차트에 표시된 화살표는 매수, 매도를 알려주는 신호를 표시한 것입니다.

패스트 스토캐스틱은 매수, 매도신호가 슬로우 스토캐스틱보다 훨씬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04.07~04.12(붉은 상자)를 보시면 슬로 스토캐스틱과 주가 차트는 하락 추세 국면에 있는데,

패스트 스토캐스틱은 그 큰 변동성으로 인해 하락 추세에도 매수와 매도신호를 계속 보내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패스트 스토캐스틱은 변동성에 편승한 단기투자에 어울린다면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투자를 추구하자면 최대한 변동성을 완화시킨 슬로 스토캐스틱이 어울리겠습니다.

 

Pt 1. 마무리

오늘은 처음으로 스토캐스틱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처음으로 기술적 분석_보조지표를 정리하는 것인지라 부족한 부분이 정말 많아 보입니다.

현재의 목표는 보조지표들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이며 최대한 활용을 하여 속된 말로, '돈을 버는 법'을 찾고 있습니다.

 

다음에는 스토캐스틱의 해석, 응용법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부족한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마법의 지표, 스토캐스틱(Stochastic) (Pt2. 스토캐스틱 활용방법)

(주의) 기술적 분석은 반드시 기본적 분석을 베이스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술적 분석이 회사의 사업, 재무건전성, 성장성 등등 회사의 사업내용과 성과를 알려주지 않습니다. (주의) 

ppaky.tistory.com

스토캐스틱 Part 2. 

728x90
반응형

댓글